전체 글 96

믿음과 율법 (갈 3:1–3) 정성민

다음은 설교 「믿음과 율법(갈 3:1–3)」을 설교의 흐름을 따라 각 단락별로 제목을 붙이고, 성경 구절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1. 예배를 향한 마음과 설교의 기대본문: 없음요약: 설교자는 예배를 향한 갈망이 항상 크지 않다는 자신의 경험을 고백하며, 예배에 대한 갈망을 다시 회복하자는 마음으로 시작한다. 특히 성도들이 “이번에는 어떤 말씀을 나눌까?”라는 기대를 품고 예배에 임하기를 소망한다. 반복적인 복음의 말씀을 통해 진리를 내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갈라디아서 설교 시리즈의 세 번째 시간임을 알린다.2. 갈라디아서 개요와 앞선 설교 정리본문: 갈 1–2장요약:1주차: ‘다른 복음’에 대한 경고와 오직 은혜로 말미암는 참된 복음을 강조함.2주차: 바울이 복음을 수호하기 위해 디도에게 할..

카테고리 없음 2025.05.15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롬 1:20) 김명룡 형제

다음은 설교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롬 1:20)」 전체 내용을 설교 흐름에 따라 단락별로 정리하고, 각 단락에 주제를 나타내는 제목을 붙인 풍성한 요약입니다. 성경 인용구절도 함께 표시하였습니다.1. 하나님을 알기에 핑계할 수 없는 시대본문: 로마서 1:20하나님은 창세로부터 자신의 존재와 속성, 곧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을 만물을 통해 분명히 보여주셨습니다. 인간은 자연과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음받았습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하셨다는 의미이며, 결국 그 누구도 "몰랐다"고 핑계할 수 없음을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이는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존재와 진리를 알 만한 책임이 있음을 경고하는 말씀입니다.2. 하나님을 아는 것은 신앙의 본질본문: 로마..

카테고리 없음 2025.05.11

다시, 나의 가족을 위해(히 11:7)

아래는 「다시, 나의 가족을 위해(히 11:7)」 설교의 전체 흐름을 따라 단락별 제목과 함께 요약한 내용입니다.1. 믿음의 작동 원리와 히브리서 11장의 위치히브리서 11장 7절은 믿음의 작동 방식과 결과(구원)를 보여주는 대표 본문입니다. 로마서 1:16-17이 복음과 믿음, 의를 연결한다면, 히브리서 11장은 그 실천적 예시입니다. 믿음은 복음을 수용하는 능동적 반응이며, 그 결과가 구원입니다.2. 노아의 믿음과 구원의 능력노아는 복음을 믿음으로 구원을 얻은 사람이며, 믿음으로 방주를 지어 가족을 구했습니다. 히브리서 11장에 나오는 여러 인물들처럼, 우리 역시 동일한 믿음을 가지고 동일한 능력으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3. 허다한 증인들과 믿음의 경주히브리서 12장은 11장에 등장한 인물들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5.05

설교 요약: 균형잡힌 교회관 (1)

설교 요약: 균형잡힌 교회관 (1)본문: 고린도전서 3:16–171. 문제의식: 왜 균형잡힌 교회관이 중요한가?많은 성도들이 교회관이 편중되어 있음.무형교회(보이지 않는 교회)에만 치우쳐 예배나 공동체 생활을 가볍게 여기는 현상.반대로 유형교회(보이는 교회)만 강조해 제도와 형식에 매몰되는 위험.이로 인해 예배 불참, 공동체 경시, 성화의 약화 등의 문제가 발생함.2. 핵심 개념 정리무형교회:구원받은 성도들의 보편적 영적 공동체.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성령이 내주하시는 참 신자들의 모임.예: 고전 6:19-20, 고전 1:2, 마 18:20 등.유형교회:시간과 공간 속에서 실제로 모이는 가시적 공동체.예배, 말씀, 성례, 교제, 훈련, 권증 등의 신앙생활의 장.예: 행 9:31, 13:1, 14:23 ..

카테고리 없음 2025.04.24

성경은 어떤 책인가?(딤후 3:16–17)

📖 설교 요약 정리: 「성경은 어떤 책인가? (딤후 3:16–17)」1. 서론: 성경의 중요성기독교의 기본 진리 중 하나인 ‘성경’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기독교는 인간이 신을 찾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간을 찾아오신 종교이며, 성경은 하나님의 구속과 사랑의 이야기를 담은 책임.성경은 기독교 신앙의 기준이며, 성령의 내주하심,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신앙의 기초를 형성함.2. 성경은 어떤 책인가?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살아 있는 말씀 (딤후 3:16-17).단순한 도덕서나 고대 문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사와 사랑의 계시를 담은 책.절대적 진리, 삶의 기준이자 신앙과 실천의 기준.일관된 메시지와 통일성: 1600년 동안 40여 명이 기록했음에도 하나의 중심 메시지를 전함.3. 성경의 구조와 내용66권의..

카테고리 없음 2025.04.13

주의 말씀, 빛나는 나의 길(시 119:105-106)

주의 말씀, 빛나는 나의 길본문: 시편 119:105-1061. 말씀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달콤한 생명’입니다시편 기자는 “주의 말씀의 맛이 꿀보다 달다”(103절)고 고백합니다.전도집회나 말씀 묵상 중, 예기치 않게 성경 안에서 기쁨을 경험할 때 그 ‘다이돌핀’ 같은 기쁨을 느낍니다.성도들도 예배에 소풍 가듯 기대하며 참석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런 기쁨을 누리기 위해서는 기도로 준비된 마음이 필요합니다.2. 지혜와 명철은 말씀을 통해 옵니다지혜: 인생 전반의 방향과 원칙을 아는 능력명철: 현재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능력말씀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줍니다.죄의 행위를 미워하게 만들고, 나를 비추며 변화시키는 것이 말씀의 능력입니다.3. 말씀은 내 발의 등불, 내 길의 빛입니다 (105절..

카테고리 없음 2025.04.10

복음, 하나님의 능력(로마서 1:16–17)

설교 본문: 로마서 1:16–17핵심 구절: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1. 복음이란 무엇인가?복음의 핵심 내용복음은 예수 그리스도 그 자체이다.예수님의 삶, 죽음, 부활, 승천, 재림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다.복음은 단순한 교훈이 아닌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 하나님의 구속의 선포이다.성경적 정의로마서 1:2 – 복음은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고린도전서 15:3–4 –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것2. 복음은 하나님의 능력이다복음의 능력 (듀나미스)하나님의 능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며 폭발적인 힘을 지닌다.복음의 능력은 전류와 같아서 항상 흐르지만, 믿음이라는 스위치가..

카테고리 없음 2025.04.06

살아있고 항상 있는 말씀(벧전 1:22-23)

1. 서론: 말씀의 중요성과 기억의 필요성지난주 히브리서 4:12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이 예리한 검과 같음을 나눔.하나님의 말씀이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우리 속에서 찌르고 쪼개고 감찰하는 검이 되어야 함.예레미야 23:28의 불과 방망이 같은 말씀처럼, 때로는 태우고, 때로는 깨뜨려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짐.2. 본론: 베드로전서 1:22-23 해석과 적용(1) 거듭남과 살아있는 말씀**“살아 있고 항상 있는 말씀”**이 우리 안에 있어야 함.베드로는 예수님과 동거동락하며 직접 경험한 거듭남(다시 태어남, 위로부터 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함.요한복음 3장에서 니고데모와 예수님의 대화를 통해 거듭남(아노덴, ἄνωθεν)이 위로부터 태어나는 것임을 설명.단순한 도덕적 변화가 아니라, 성령과 말씀을 통한 ..

카테고리 없음 2025.03.14

말씀으로 활력이 있는 나 (히 4:12-13)

1.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과 역할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운동력이(활력) 있다(히 4:12).이 말씀이 좌우의 날선 검과 같이 혼과 영,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고,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신다.말씀은 단순한 글자가 아니라 생명력과 능력을 가지며, 성도들의 삶 속에서 실제로 역사한다.2. 하나님의 말씀의 특성과 적용살아 있는 말씀: 헬라어 "존(ζῶν)"은 현재 능동 분사형으로, 지속적으로 살아서 역사하는 의미를 가짐.활력(운동력, ἐνεργής): 단순한 존재가 아니라 운동하며 역사하는 힘을 가진다.검의 역할: 하나님의 말씀은 찌르고, 쪼개고, 감찰하는 기능을 한다.찌름: 마음속 깊이 감추어진 죄와 문제를 드러냄.쪼갬: 진리와 거짓을 분별하고 나누는 역할.감찰: 모든 것을 밝히 드러내며, 감출 것이..

카테고리 없음 2025.03.09

믿음의 주, 생명의 주, 구원의 주에서 "주"의 헬라어와 신학적 의미

1. 서론기독교 신학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믿음의 주", "생명의 주", "구원의 주"로 불리며, 이는 성경 전체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과 주권을 강조하는 중요한 표현이다. 신약 성경에서 "주"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일반적으로 κύριος (Kyrios, 퀴리오스) 가 사용되며, 이는 "주인, 소유자, 주권자(Lord, Master)"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믿음의 주", "생명의 주", "구원의 주"라는 표현에서는 κύριος(Kyrios) 대신 ἀρχηγός (Archēgos, 아르케고스) 가 사용되며, 이는 "창시자, 개척자, 지도자"라는 의미를 포함한다.본 논문에서는 "믿음의 주", "생명의 주", "구원의 주"에서 사용된 헬라어 ἀρχηγός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신학적 함의를 고찰함..

카테고리 없음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