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7

오리를 죽이고 숨긴 아들

어느 부잣집에 아들과 하녀가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아들은 심심한 나머지 마당에 놀러 나가다가 아버지가 아끼던 오리를 돌팔매로 쳐서 죽이고 말았습니다. 놀란 아들은 그것을 땅에 몰래 묻고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장면을 하녀가 창문 너머로 보고 있었습니다.그날 저녁, 하녀는 아들에게 다가와 조용히 속삭였습니다.“아가야, 오늘 저녁 설거지 네가 해 줘야겠구나.”아들이 고개를 흔들자 하녀는 입가에 미소를 지으며 말했습니다.“오리를 죽이고 묻은 걸 내가 봤단다.”아들은 두려움에 떨며 조용히 설거지를 했습니다.그날 이후, 하녀는 날마다 심부름, 청소, 땔감 나르기, 음식 만들기 등 온갖 허드렛일을 아들에게 시켰고, 아들은 들키지 않기 위해 모든 일을 감당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

카테고리 없음 2025.05.25

‘오이코도메’와 ‘오이코노모스’ 개념에 근거한 공예배 청지기론 소고

1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21세기 현대 교회는 심각한 개인주의적 신앙 경향과 비참여적 예배 문화에 직면해 있다. 개인의 영적 체험이나 감정 중심의 신앙은 공동체성과 예배 참여의 책임을 약화시켰고, 이는 예배를 단순히 공급받는 ‘서비스’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점차 교회 공동체의 연합성과 공예배의 본질을 훼손하며, 예배를 통해 세워져야 할 ‘덕’(οἰκοδομή)의 목적을 상실하게 한다(김세윤, 2007; Peterson, 1992).예배는 단지 ‘개인의 신앙 충전’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이 모여 하나님의 임재를 함께 경험하고, 공동체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청지기적 행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예배는 ‘모이는 교회’로서의 유형 교회가 지닌 본질적 기능이며, 그 회복 없이는 교회 생태..

카테고리 없음 2025.05.22

균형잡힌 교회관 (2) (고전 14:26, 40)

1. 설교 서두: 균형잡힌 교회관을 다시 생각하다“균형잡힌 교회관” 두 번째 시간입니다. 고린도전서 14장 26절과 40절 말씀을 함께 읽었습니다.“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꼬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모든 것을 적당하게 하고 질서대로 하라” (고린도전서 14:26, 40)이번 설교는 앞서 나누었던 고전 3장 16–17절 말씀의 연장입니다.“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누구든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면 하나님이 그 사람을 멸하시리라. 하나님의 성전은 거룩하니 너희도 그러하니라” (고린도전서 3:16–17)이전 설교에서는 '우리..

카테고리 없음 2025.05.22

한 벌의 옷: 제사장 옷과 속옷-겉옷 비유를 통한 칭의와 성화의 통합 신학

소논문 목차Ⅰ. 서론: 구원 이해의 균형을 위한 비유1. 연구 배경과 문제 제기2. ‘속옷과 겉옷’ 비유의 필요성3. 연구 목적과 방법 Ⅱ. 칭의와 성화: 구별되되 분리되지 않는 구원의 두 차원1. 칭의의 정의와 특성2. 성화의 정의와 과정3. 칭의와 성화의 관계 및 통합 필요성 Ⅲ. 속옷과 겉옷의 신학적 비유: 은혜와 책임의 조화1. 속옷: 칭의의 은혜로 입는 옷2. 겉옷: 성화의 책임으로 입는 옷3. 비유적 적용: 방종과 위선의 경계 넘기 Ⅳ. 성경 본문에 나타난 옷의 구조와 구속사적 의미1. 이사야 59장과 하나님의 의복2. 에베소서 6장의 전신갑주3. 스가랴 3장, 이사야 61장, 골로새서 3장 등 ‘옷 입음’ 본문 정리 Ⅴ. 제사장의 옷: 내러티브 본문에 나타난 구속의 형상1. 출애굽기 28장의..

카테고리 없음 2025.05.22

믿음과 율법 (갈 3:1–3) 정성민

다음은 설교 「믿음과 율법(갈 3:1–3)」을 설교의 흐름을 따라 각 단락별로 제목을 붙이고, 성경 구절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1. 예배를 향한 마음과 설교의 기대본문: 없음요약: 설교자는 예배를 향한 갈망이 항상 크지 않다는 자신의 경험을 고백하며, 예배에 대한 갈망을 다시 회복하자는 마음으로 시작한다. 특히 성도들이 “이번에는 어떤 말씀을 나눌까?”라는 기대를 품고 예배에 임하기를 소망한다. 반복적인 복음의 말씀을 통해 진리를 내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갈라디아서 설교 시리즈의 세 번째 시간임을 알린다.2. 갈라디아서 개요와 앞선 설교 정리본문: 갈 1–2장요약:1주차: ‘다른 복음’에 대한 경고와 오직 은혜로 말미암는 참된 복음을 강조함.2주차: 바울이 복음을 수호하기 위해 디도에게 할..

카테고리 없음 2025.05.15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롬 1:20) 김명룡 형제

다음은 설교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롬 1:20)」 전체 내용을 설교 흐름에 따라 단락별로 정리하고, 각 단락에 주제를 나타내는 제목을 붙인 풍성한 요약입니다. 성경 인용구절도 함께 표시하였습니다.1. 하나님을 알기에 핑계할 수 없는 시대본문: 로마서 1:20하나님은 창세로부터 자신의 존재와 속성, 곧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을 만물을 통해 분명히 보여주셨습니다. 인간은 자연과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음받았습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하셨다는 의미이며, 결국 그 누구도 "몰랐다"고 핑계할 수 없음을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이는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존재와 진리를 알 만한 책임이 있음을 경고하는 말씀입니다.2. 하나님을 아는 것은 신앙의 본질본문: 로마..

카테고리 없음 2025.05.11

다시, 나의 가족을 위해(히 11:7)

아래는 「다시, 나의 가족을 위해(히 11:7)」 설교의 전체 흐름을 따라 단락별 제목과 함께 요약한 내용입니다.1. 믿음의 작동 원리와 히브리서 11장의 위치히브리서 11장 7절은 믿음의 작동 방식과 결과(구원)를 보여주는 대표 본문입니다. 로마서 1:16-17이 복음과 믿음, 의를 연결한다면, 히브리서 11장은 그 실천적 예시입니다. 믿음은 복음을 수용하는 능동적 반응이며, 그 결과가 구원입니다.2. 노아의 믿음과 구원의 능력노아는 복음을 믿음으로 구원을 얻은 사람이며, 믿음으로 방주를 지어 가족을 구했습니다. 히브리서 11장에 나오는 여러 인물들처럼, 우리 역시 동일한 믿음을 가지고 동일한 능력으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3. 허다한 증인들과 믿음의 경주히브리서 12장은 11장에 등장한 인물들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5.05